– 8.31~9.1 대구 수성호텔에서 1박 2일로 열려…수요기업과 로봇SI기업 실증 계획 발표
▲2023년 로봇-장비 연계형 사업 킥오프 워크숍이 31일 대구 수성스퀘어에서 개최되었다.
2023년 로봇-장비 연계형 사업 킥오프 워크숍이 31일 대구 수성호텔 수성스퀘어에서 개최되었다.
9월 1일까지 1박 2일로 열린 이번 워크숍은 2023년도 로봇-장비연계형 사업의 성공적인 사업 수행을 위한 수요기업과 로봇SI기업의 실증계획 및 업무협력 토의를 위해 마련되었다.
▲과제 총괄책임자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남경태 수석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주최한 워크숍에는 과제 총괄책임자인 남경태 수석을 비롯해 전문연 총괄책임자 및 실무자, 세부 주관기관(수요기업), 로봇SI기업(참여기업), 각 공정 관련 전문가 등 이번 사업 관련 구성원 30명이 참석하였다.
워크숍 1일차인 31일에는 올해 실증사업을 펼치는 6개 과제에 대한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 질의 응답 시간이 있었다.
▲건솔루션 김민찬 이사가 발표하고 있다.
먼저 자율이동 로봇 표준 공정 관련해 건솔루션 김민찬 이사가 수요기업인 동원파츠와 진행하고 있는 제조로봇을 활용한 반도체 부품 가공 공정의 자동화에 대한 과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아이티스코 김창원 차장이 발표하고 있다.
두 번째로 자율이동 로봇 표준 공정 관련해 공급기업인 아이티스코 김창원 차장이 도입기업인 한국OSG와 진행하고 있는 협동로봇-자율이동로봇(AMR)을 연계한 마킹 단위 공정 및 연계 공정 셋업 자동화를 위한 표준모델 구현 과제에 대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로타렉스코리아 이찬우 상무가 발표하고 있다.
세 번째 시간에는 역시 로봇 표준 공정 관련해 수요기업인 로타렉스코리아 이찬우 상무가 공급기업인 한국엠프로와 진행하고 있는 초고순도 실린더밸브 CNC 가공부품 로딩/언로딩, 검사, 마킹공정 로봇 활용 자동화 과제에 대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선일텍스 신동엽 대표가 발표하고 있다.
네번째 시간에는 이송 적재 공정 관련해 수요기업인 선일텍스 신동엽 대표가 공급기업인 ㈜상동과 진행하고 있는 원단 포장 공정 자동화 로봇 도입 과제에 대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장충동왕족발 권현주 상무가 발표하고 있다.
다섯 번째 시간에는 분류조합 소포장 공정 관련해 수요기업인 장충동왕족발 권현주 상무가 공급기업인 ㈜디시스와 진행하고 있는 델타로봇을 활용한 블록 실재료 분류조합 소포장(밀키트) 로봇 자동화 과제에 대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바이오솔루션 이은경 책임이 발표하고 있다.
마지막 여섯 번째 시간에는 배지 교체 자동화 공정 관련해 수요기업인 바이오솔루션 이은경 책임이 공급기업인 한국바이오셀프와 진행하고 있는 세포치료제 생산용 부착성 세포의 배지 교체 공정 로봇 자동화 시스템 과제에 대한 설명과 향후 계획에 대해 발표했다.
오는 11월말까지 진행되는 이번 로봇-장비 실증사업에는 국비 12억 7300만원, 민자 11억 4300만원 등 총 24억 1600만원이 투입된다.
발표회 후에는 로봇-장비 디지털 매뉴팩처링 표준 모델 개발 사업 총괄운영위원회 7차 회의가 속개되었다.
▲로봇-장비 디지털 매뉴팩처링 표준 모델 개발 사업 총괄운영위원회 7차 회의 모습
회의에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남경태 수석, 이동윤 수석, 이동목 수석, 서울과기대 김종형 교수, 김진현 교수,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정일균 수석,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이재용 센터장,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주충호 산업제조실증팀장, 권건환 책임 등 총괄운영위원회 위원 15명이 참석했다.
이날 열린 운영위원회에서는 2023년도 로봇장비 실증사업 진행 현황 공유 및 각 세부별 2차년도 표준모델 개발 현황 발표 및 논의, 표준 모델별 평가 관련 논의 등이 이루어졌다.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이재용 센터장이 발표하고 있다.
첫 발표는 3세부의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이재용 센터장이 섬유/식음요/바이오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로봇-장비 적용 공정 선정 및 로봇-장비 디지털 매뉴팩처링 패키지 표준 모델 개발에 대한 현황 발표와 관련 논의가 이어졌다.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정일균 수석이 발표하고 있다.
두번째 발표는 2세부의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정일균 수석이 전기전자분야 로봇-장비 디지털 전환 표준공정 모델 개발에 대한 현황 발표와 관련 논의가 이어졌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동윤 박사가 발표하고 있다.
마지막 발표는 1세부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동윤 박사가 자동차/기계/조선/항공 산업의 로봇-장비 디지털 매뉴팩처링 패키지 표준 모델 개발에 대한 현황 발표와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이날 운영위원회 임시위원장을 맡은 서울과기대 김종형 교수는 표준모델별 평가 관련해 디지털전환(DNA) 지수에 대한 평가가 부족하며, 유연생산 관련해 유연성이 얼마나 높아졌는지, 시장 관련된 지표 등이 좀 더 강조되었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워크숍 2일차인 9월 1일에는 오전에 향후 일정 안내 및 업무 협력 토의가 이루어지며 12시에 총평 및 마무리를 끝으로 종료될 예정이다.
조규남 전문기자 ceo@irobotnews.com
<저작권자 © 로봇신문사 모바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